키 크고자 하는 마음과 성장호르몬제 부작용, 올바른 균형 찾는 것이 중요

 

성장호르몬제 처방 및 부작용 사례 급증

어린 시절, 우리 모두는 키가 더 크고 싶어했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성장호르몬제를 투여하는 일부 사례가 있었죠. 하지만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성장호르몬제 처방 건수가 2018년 5만 5,075건에서 2022년 19만 1,000건으로 약 3.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부작용 사례도 2018년 320건에서 2022년 1,604건으로 무려 5배나 늘어난 모습입니다.

성장호르몬제는 무엇일까?

성장호르몬제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해 만든 ‘재조합 사람 성장호르몬’을 함유한 바이오의약품입니다. 이 약물은 소아나 보호자가 직접 복부, 팔, 허벅지 등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투여됩니다. 장기간 호르몬을 투여하면 뼈 세포 성장과 발달을 촉진해 키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제 처방 기준

하지만 단순히 키가 크고 싶다는 이유만으로 누구나 성장호르몬제를 처방받을 수는 없습니다. 국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건강보험 요양급여로 처방이 가능합니다.

  • 소아성장호르몬결핍증
  • 터너증후군
  • 소아만성신부전
  • 프라더윌리증후군
  • 저신장 부당경량아
  • 누난증후군으로 인한 저신장증

이 외에도 식약처에서 허가한 처방 범위로 특발성 저신장증이 있습니다. 특발성 저신장증은 또래 아이들에 비해 키가 매우 작으면서, 원인이 되는 질병이 없고 성장호르몬 분비도 정상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성장호르몬제 투여 시 효과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2021년 연구에 따르면, 특발성 저신장증 환자에게 성장호르몬 치료를 한 경우 성인기 키가 약 5.29cm 더 컸다고 합니다. 치료 효과는 소아의 나이와 키가 작을수록 컸고, 최소 6개월 이상 사용했을 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장호르몬제 부작용, 무시하지 마세요!

성장호르몬제의 효과가 알려지면서 치료를 원하는 수요가 늘고 있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성장호르몬제는 ‘키 크는 주사’가 아닌 저신장 치료제라는 사실입니다! 국내 유통 중인 24개 성장호르몬제는 모두 저신장이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신 의원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 9월까지 성장호르몬제 관련 이상 사례가 5,368건 보고됐습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출혈, 통증, 두통, 구토, 오심,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이 있었죠. 또한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 척추측만증, 고혈당, 관절통, 과민증 등의 위험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부작용이 나타나면 대부분 주사 중단 시 점차 해소되지만, 정기 경과 관찰이 필요합니다.

저신장증이 아니라면 생활습관 개선으로도 충분

저신장증이 아닌 일반 소아청소년의 경우라면 생활습관 개선만으로도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2시 전에 수면을 취하고, 하루에 60분 정도 줄넘기, 농구, 축구 등 다리를 많이 사용하는 운동을 하면 충분히 키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결국 성장호르몬제는 효과와 부작용의 균형을 고려해야 하는 약물입니다. 키 크고 싶은 열망과 부작용 위험 사이에서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무엇보다 개인의 건강이 최우선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 같네요!

 

By yorg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