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고래 등 고래류의 ‘폐경’ 현상, 번식 경쟁 회피와 자손 세대 생존율 향상의 진화 전략

범고래 등 고래류의 ‘폐경’ 현상, 번식 경쟁 회피와 자손 세대 생존율 향상의 진화 전략

 

암컷 고래, 번식기 동결하고 수명 연장하는 이유는?

포유류 중에서 인간을 제외하고 범고래, 흑범고래, 일각돌고래, 벨루가고래, 들쇠고래 등 5종의 이빨고래만이 폐경기를 경험합니다. 오랫동안 이 현상의 진화적 배경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는데, 최근 영국 엑서터대 연구팀이 그 답을 내놓았습니다. 암컷 고래가 폐경을 겪는 이유는 번식 기간은 늘리지 않으면서도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딸이나 손녀와의 번식 경쟁을 피하고, 후손들의 생존을 돕기 위한 진화 전략이라는 것입니다.

수명 연장의 열쇠, 번식 경쟁 회피와 자손 세대 지원

연구팀에 따르면, 폐경을 경험하는 5종의 이빨고래 암컷은 비슷한 크기의 다른 암컷 고래보다 약 40년 더 오래 살며, 암컷 고래는 평균적으로 동종의 수컷보다 긴 수명을 갖습니다. 예컨대, 암컷 범고래는 80대까지 살지만 수컷 범고래는 보통 40세 전후에 죽습니다. 이처럼 암컷 이빨고래가 길어진 수명 동안 번식을 멈추고 자녀와 손주를 돕는 이유는 딸이나 손녀와의 번식 경쟁을 피하고, 후손 세대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진화 전략이라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입니다.

깊이 있는 고래 문화, 세대 간 지식 전수가 생존 지원

대런 크로프트 박사는 “폐경의 진화와 긴 생식 후 생명 연장은 매우 구체적인 상황, 즉 암컷이 가족 구성원과 밀접히 접촉하며 가족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도울 기회가 있을 때만 가능하다”고 설명합니다. 암컷 이빨고래는 먹이를 나누고 먹이가 부족할 때 먹이를 찾는 방법 등의 지식을 후손에게 전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고래 사회에서 세대 간 문화 전수와 공동체 의식이 발달한 것이 폐경 진화를 뒷받침했다는 분석입니다.

인간과 침팬지 일부 종에도 존재하는 ‘폐경’ 현상

폐경 후 연장된 수명을 사는 포유류는 인간과 이빨고래 5종, 그리고 최근 연구로 드러난 우간다 야생 침팬지 일부 종뿐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렸습니다. 인간의 경우에도 폐경 진화의 배경에는 비슷한 요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딸이나 며느리와의 자원 경쟁을 피하고, 손주 세대의 출산과 양육을 지원함으로써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진화 전략이었을 것입니다.

진화의 비밀 푸는 열쇠, 장수 포유류의 삶에 주목해야

연구팀은 “이빨고래 암컷에서 폐경은 번식 기간은 늘리지 않으면서 총수명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며 “폐경은 번식 기간이 딸이나 손녀와 겹치지 않게 하면서 자녀 및 손주와 함께 살며 돕는 기간을 늘려준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고래를 비롯한 장수 포유류의 삶에 주목함으로써 인간 진화의 비밀을 푸는 단서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 앞으로 이 분야의 후속 연구가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By yorgel